어깨 통증들의 원인
어깨 통증으로 고민하는 사람은 많고 그 원인은 다양합니다. 주요 어깨의 질병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요약했습니다. 오십견과 변형성 어깨 관절증, 건판 단열 등 어깨 통증을 증상으로 하는 질병에 대해 각각 소개합니다.
오십견의 특징
오십견은 40~50대에서 가장 많이 발병합니다. 오십견의 특징은 어깨와 팔이 아프고 팔이 오르지 않아 옷을 벗고 입을 수 없는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오십견은 대부분의 경우 1~2년 동안에 자연스럽게 낫기 때문에 일상생활의 지장이 없을 경우는 반드시 진찰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강한 통증이 있는 경우나 통증으로 인해 움직임에 제한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는 정형외과를 진찰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시기에 따라 변하는 오십견의 증상
오십견은 경과에 따라 증상이 바뀝니다.
증상의 경감이나 조기 회복, 악화의 예방을 위해서는 경과에 맞추어 어깨의 휴식과 운동 요법을 적절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기(발병으로부터 2주일 정도)
통증이 강하고 무리를 하면 움직일 수 있습니다.
만성기(~통상 6개월 정도)
통증의 정도가 경감되지만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회복기(1년 정도)
통증은 가볍고 점차 움직이기 쉽습니다.
오십견의 치료
오십견의 치료는 급성기와 그 이외의 시기에 목적이 다릅니다.
발병~2주일 정도의 급성기는 주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를 하고 만성기와 회복기는 주로 어깨의 움직임을 회복시키는 치료를 합니다.
어깨관절염
변형성 어깨 관절증은 어깨 결림이나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뼈 연골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변형성 어깨 관절증인지 여부는 엑스선 검사로 조사합니다. 변형성 견관절증은 골절이나 탈구 등의 외상 외에 나이에 따른 뼈 연골의 노화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또, 상완골두괴사(경우에시)나 건판 단열, 호르몬 이상 등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변형성 어깨 관절증의 치료는 우선 약물 요법, 운동 요법 등 보존 요법을 실시합니다. 약물요법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 스테로이드약이나 히알루론산 등을 이용합니다. 운동요법으로는 통증이 가벼운 경우나 약물요법으로 통증이 심해졌을 경우에 실시합니다.
힘줄 절단
근육과 뼈는 힘줄로 연결되어 있지만 힘줄은 판 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힘줄 이라고합니다. 이 건판이 나이 등에 의해 부서지고 끊어 버리는 것이 건판 단열 입니다. 가장 일어나기 쉬운 것은 팔을 올릴 때 사용하는 극상근입니다. 건판 단열은 60대 이상의 4명에 1명에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약 6할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종종 단열의 진행이 천천히 염증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힘줄 판은 50 어깨와 달리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습니다. 60대 이상이 어깨에서 상완부에 걸쳐 통증을 느끼면 건판 단열을 의심하고 정형외과의 진찰을 추천합니다. 힘줄 절단의 치료는 주로 약물 요법 과 운동 요법 을 시행합니다. 약물 요법은 단열로 인한 염증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합니다. 통증이 강하면 스테로이드 약물이나 히알루론산을 환부에 주사할 수 있습니다. 운동 요법은 통증으로 인해 과도하게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재활을합니다. 다만, 운동에 따라서는 단열의 확대나, 증상의 악화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지도하에 실시하도록 하여야 합니다.